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웹 개발
- file upload
- 보고서
- 문제 풀이
- Python
- union sql injection
- Error based sql injection
- sql injection
- 증적 사진
- 세션
- JS
- 보안 패치
- 과제
- cookie 탈취
- FridaLab
- blind sql injection
- 로그인페이지
- 게시판 만들기
- lord of sql injection
- 웹 해킹
- 모의해킹
- MySQL
- php
- CTF
- 웹개발
- sql injection point
- Los
- csrf
- XSS
- 로그인
- Today
- Total
Almon Dev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후기 본문
오늘은 제가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시험을 약 3개월 공부한 경험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블로그에 글 쓰는게 오랜만이라 어색하기도 하고 공부 정리를 미룬것 같아 살짝 죄책감도 듭니다.
1. 공부 기간 및 계획
처음 시험 준비할 때, 시험일 까지 여유가 남았기에 단기간에 끝내기보단 3개월 동안 천천히 공부하기로 계획을 세웠습니다. 기출문제를 풀면서 문제 답 위주로 공부하지 않고 모르는 개념, 원리를 찾아보고 부족한 CS 지식을 채운다는 느낌으로 공부했습니다.
- 1~4주차: 과목별 기초 개념 이해
- 5~8주차: 기출문제로 개념 이해도 확인
- 9~12주차: 모의고사 풀이
2. 공부 방법
답만 외우지 않고, 왜 그런 답이 나오는지 원리와 개념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ex) DB 과목에서 JOIN 문제를 풀 때, 단순히 정답을 INNER JOIN으로 외우는 것이 아니라 INNER JOIN이 두 테이블의 공통된 값만 가져온다는 개념을 이해하고, 실제 데이터를 넣어 연습하며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교재를 읽으면서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실제 적용 예제를 찾아 확인했습니다.
ex) OSI 7계층을 공부하던 중, L2 계층에 스위치라는 장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L3 계층에도 스위치가 있다는 것을 보고 혼란스러워 실제 적용 예시를 찾아보았습니다. 실제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L2 스위치는 내부 네트워크 통신만 지원하고, L3 스위치는 내부 통신뿐 아니라 외부로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L2 계층의 프로토콜에는 MAC 주소가, L3 계층에는 IP가 속한다는 점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문제를 풀면서 개념이 실제 문제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했습니다
ex) 페이징 문제에서, 페이지 프레임이 3개이고 참조 문자열이 A, B, C, D, A라면, FIFO에서는 먼저 들어온 페이지가 먼저 교체됩니다. 표로 직접 포인터를 따라가며 페이지 폴트 발생 순서를 기록하면, 단순 암기가 아니라 FIFO 개념이 실제 페이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틀린 문제나 헷갈리는 개념은 오답노트에 정리했습니다.
ex) 문제, 틀린 선택지, 왜 틀렸는지, 관련 내용을 기록하고, 시험 직전에 오답노트만 빠르게 훑어보면서 헷갈리는 부분을 집중 복습했습니다.
3. 느낀점
솔직히 말하면, 산업기사 필기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저처럼 비전공자라도 한 달 정도만 공부하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비전공자라면 단순히 자격증만 딴다는 느낌보다는 부족한 CS 지식(OS,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설계, DB 등)을 채운다는 느낌으로 공부하는 게 훨씬 도움이 된다고 느꼈습니다.
실제로 공부를 시작하기 전보다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흐름을 이해하게 되니, 보안이나 개발 관련 지식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어 만족합니다.